지난 포스팅에선 DML문 중 다중검색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이번 포스팅에선 운영체제의 기본 용어에 대하여 정리하겠다.
지금부턴 다시 개념암기가 중요한 파트로써 개념에 대한 설명이 주어졌을 때 그 개념을 떠올릴 수 있을정도로 공부해야된다는 생각을 하면서 공부하길 바란다.
먼저 알고 들어가면 좋은 개념:
※ CPU는 중앙 처리 장치로 프로세서의 일부이다. 허나 범용적으로 프로세스와 CPU를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 입출력 장치, 메모리, CPU 등의 개념이 잘 안잡혀있으면 이 파트가 공부하기 힘들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학습을 진행한 후 공부를 시작하기 바란다.
※ 이 파트는 정보처리 기능사 필기 에서 공부했던 내용들도 심심치 않게 출제되므로 필기때 공부했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부분을 다시 공부하길 바란다.
1. 운영체제 (OS - OPERATING SYSTEM) 의 정의
컴퓨터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주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2. 운영체제의 발달 과정
2.1 일괄 처리 시스템 / 버퍼링 / 스풀링
2.1.1 일괄 처리 시스템:
데이터를 모아두었다가 일괄적으로 묶어서 처리하는 시스템
2.1.2 버퍼링
입출력 장치와 CPU의 속도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음 레코드를 주 기억 장치에 보관함우르써 CPU가 필요로 하는 레코드를 기다림없이 전달해줄 수 있게 한다. 이때 이 레코드를 저장하는 주 기억 장치의 일부분을 '버퍼' 라고 한다.
2.1.3 스풀링
버퍼링과 다르게 스풀링은 주 기억 장치 대신 하나의 독립된 디스크를 매우 큰 버퍼처럼 사용(레코드들을 저장)하는 기법이다.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 가능하다
2.2 다중 프로그래밍 / 시분할 시스템 / 다중 처리 시스템 / 실시간 시스템
2.2.1 다중 프로그래밍
여러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나눠 적재한 후 번갈아 할당하며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는 기법
2.2.2 시분할 시스템
컴퓨터를 대화식으로 사용하려는 시도에서 생겨났고, 여러 사용자에게 짧은 간격으로 CPU를 번갈아 가며 할당하여 하나의 프로그램 입장에서 CPU를 독점하여 사용한 것 처럼 사용 가능하다.
2.2.3 다중 처리 시스템
하나의 시스템, 메모리에서 여러개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2.2.4 실시간 시스템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응답하는 시스템
2.3 다중 모드 / 범용 시스템
2.3.1 다중 모드
일괄, 시분할, 실시간, 다중 처리 등의 시스템을 모두 제공하는 시스템
2.3.2 범용 시스템
특별하게 정해진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 가능한 시스템
2.4 모바일 / 임베디드
2.4.1 모바일
휴대가 가능한 기기에 포함되어있는 시스템
2.4.2 임베디드
기계나 기타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에 대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으로 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내장형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드론, 세탁기, 셋톱박스 등등이 있겠다.
3. 운영체제의 목적
3.1 처리 능력 향상:
일정 시간 내에 시스템이 처리하는 일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
3.2 반환 시간(응답 시간) 감소:
작업을 처리하는 속도 감소
3.3 사용 가능도 향상:
시스템이 필요할 때 즉시 사용 가능한 정도 향상
3.4 신뢰도 향상:
문제 해결 정확도 향상
4. 작업 처리 방식
4.1 단일 작업 처리 시스템:
컴퓨터의 시스템을 한 개의 작업이 독점하며 사용하는 방식
EX) MS-DOS
4.2 다중 작업 처리 시스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열어 두고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방식
EX) WINDOWS, UNIX, LINUX, MAC OS
5. 운영체제의 구성
5.1 운영체제의 계층적 위치

운영체제는 크게 쉘과 커널로 구성되어있다.
- 커널 : 운영체제의 핵심으로 운영체제가 수행하는 모든 것이 저장되어있다.
- 쉘 : 커널에 요청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커널에 요청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어플리케이션 == 응용 프로그램'
운영체제의 계층적 위치구조:
사용자 -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 유틸리티 - 운영체제(쉘,커널) - 하드웨어
--> 유틸리티와 하드웨어 사이에 존재한다.
5.2 제어 프로그램 / 처리 프로그램
5.2.1 제어 프로그램
감시 프로그램
작업 관리 프로그램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5.2.2 처리 프로그램
언어 번역 프로그램
서비스 프로그램
(문제) 처리 프로그램
이번 포스팅에선 운영체제의 기본 용어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다음 포스팅에선 각 운영체제별 특징들에 대하여 정리하겠다.
'정보처리 기능사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 (0) | 2022.09.03 |
---|---|
9. 각 운영체제별 특징 (0) | 2022.09.03 |
7. SQL - DML - 다중검색 (0) | 2022.08.31 |
6. SQL 기본 문법 - DML (0) | 2022.08.31 |
5. SQL 기본 문법 - DCL (0) | 2022.08.30 |